벌초닷컴
고객센터

HOME > 고객센터 > 공지사항공지사항

전북도, 연말까지 방치된 빈집 전수조사

관리자 | 2018.12.11 11:01 | 조회 338
전라북도는 안전사고·범죄 예방 및 경관개선 등 쾌적한 주거환경 조성을 목적으로, 농어촌 및 도심에 산재되어 있는 흉물스런 빈집을 정비하여 주거환경을 개선하고자 빈집 실태조사를 연말까지 실시한다. 

도내에는 1년이상 방치된 빈집이 2017년 12월말 기준 9,365동이 있는 것으로 올해 1월에 조사되었으며, 이는 도내의 총 단독주택 244,363동의 3.8%를 차지하는 수치로 대부분이 농촌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 빈집수는 9,365동(2017.12월말기준)으로 도심지역 1,833동(19%), 농촌지역 7,532동(81%)이다. 

그동안 전라북도에서는 2018년까지 30,595동의 빈집을 철거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농촌 인구의 도시유입 증가와 고령화로 인해 농어촌의 빈집 발생은 가속화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전라북도에서는 빈집 철거와 함께 상태가 양호한 빈집에 대하여는 체계적 관리 및 활용이 가능하도록 2019년 ‘희망하우스’ 빈집재생사업, 도심빈집 주민공간조성사업, 농촌 빈집정비사업, 등 다양한 빈집관련 사업을 시행할 예정이다. 

‘희망하우스’ 빈집재생사업은 기존 2015년부터 전라북도에서 전국 최초로 농촌지역에서 추진하여 큰 호응을 얻은 ‘빈집활용 반값임대주택 제공사업’을 2019년부터 확대 시행하는 것으로 농촌지역의 새로운 주거안정 및 주거복지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계획(안)은 2018년 동당 1,200만원 지원에서 2019년 동당 2,000만원 확대 지원할 예정이다. 

아울러 도심빈집 주민공간조성사업은 전라북도 6개 시(전주, 군산,익산, 정읍, 남원, 김제)에 도심지역 빈집을 쉐어하우스 및 주차장, 쉼터, 텃밭 등 주민공간으로 재창출하는 사업으로 도심의 공동화로 인하여 침체된 구도심지역의 활성화에 일조하고 있다. 

전라북도 이용민 건설교통국장은 “도시 및 농어촌지역의 주거환경 개선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 단순 철거 위주의 정비 방식에서 벗어나 빈집에 대한 체계적 관리와 정비가 될 수 있도록 빈집실태조사 및 관련사업 추진에 지속적으로 노력하여 도민들에게 주거복지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호남 강기운 기자 kangkiun@

원문주소 http://www.newsway.co.kr/news/view?tp=1&ud=2018113007390110973
공지사항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홈닥이 집수리와 빈집관리의 새로운 플랫폼으로 다시 태어납니다. 관리자 919 2018.12.11
공지
'인테리어 먹튀' 피해 보상도 막막 &주택보수공사계약서 관리자 1101 2016.10.18
13 증평군 죽리마을 ‘빈집 활용’ 전국 대상 관리자 484 2018.12.11
12 경산 아파트 '우후죽순'…빈집 대란 예고 관리자 637 2018.12.11
11 전주시 늘어나는 빈집, 맞춤형 정비계획 마련 관리자 419 2018.12.11
10 방치되는 빈집 우범장소 전락 우려 관리자 407 2018.12.11
9 대전중구,빈집정비사업 주민공동공간 조성 관리자 381 2018.12.11
8 도심 속 골칫덩이 '빈집'...쓰레기 쌓이고 들고양이 들끓어도 방치 관리자 549 2018.12.11
7 전국 빈집 20년간 3배 급증…정비사업 취소 등 원인 관리자 363 2018.12.11
6 빈집 126만가구 넘어…노후주택 철거대책 시급 관리자 459 2018.12.11
5 "빈집 공짜로 드려요"…日 '빈집 은행' 인기 관리자 492 2018.12.11
4 집값담합 잡고 빈집 재생사업까지… 감정원의 '영역확장' 관리자 410 2018.12.11
3 크게 늘어난 도내 빈집, 주택 10채 중 하나꼴 관리자 371 2018.12.11
2 전북도, 농어촌·도심 빈집실태 ‘전수조사’...빈집 재생사업 시행 관리자 333 2018.12.11
1 ‘아키야’(빈집) 늘어나는 일본, 2033년엔 2166만채가 빈집 관리자 473 2018.12.11
>> 전북도, 연말까지 방치된 빈집 전수조사 관리자 339 2018.12.11